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동아일보 히어로 콘텐츠팀과의 공동 기획, '품을 잃은 아이들' 두 번째 순서입니다. <br> <br> 부모의 학대와 방임으로 상처받은 아이들을 다른 가정에서 보호하는 제도, 바로 '가정위탁'입니다. <br> <br>전국에 7천여 위탁가정이 있는데, 친권이 없어서 어려움이 큽니다. <br><br> 서상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119 구급차가 주택가에 출동하고 31개월 여자아이가 들것에 실려 나옵니다. <br> <br>곧장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습니다. <br> <br>사인은 친모와 계부의 학대로 인한 영양실조와 뇌출혈이었습니다. <br> <br>같이 있던 17개월 남동생 혁재는 아사 직전 구조돼 위탁 가정으로 보내졌습니다. <br> <br>8개월 뒤 음식 씹는 법조차 몰랐던 혁재는 몸무게가 3배 늘었습니다. <br> <br>[김정선 / 위탁가정 부모] <br>"빨대를 처음 빠는 거예요. 저희들이 너무 신기해서 (어린이집) 선생님하고 둘이 막 울었거든요." <br><br>가정 위탁은 친부모가 수감, 학대, 질병 등으로 아이를 돌볼 수 없을 때 다른 가정에서 일정 기간 돌보는 제도입니다.<br> <br>세 남매로 북적북적한 이숙진 씨네 . <br> <br>2년 전 둘째를, 올해는 셋째를 가정위탁으로 만났습니다. <br> <br>친모의 방치로 제대로 앉지도 못하던 둘째는 다리 힘이 생겼습니다. <br> <br>[이숙진 / 위탁가정 부모] <br>"걸어 다니는 연습도 잘하고 해서 지금은 날아다녀요." <br> <br>셋째는 머리뼈가 비대칭적으로 자라는 '사두증'을 치료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서로를 돌보는 가족이지만 법적으로 남남, '동거인'입니다. <br> <br>휴대전화 개통이나 수술 동의, 여권을 만드는 일까지 연락 두절된 친부모 동의가 필요합니다. <br> <br>[이숙진 / 위탁가정 부모] <br>"베트남 여행을 가야 되는 상황인데, 법적인 부분들이 안 되니까 이 아이를 결국엔 데려가지 못했어요." <br> <br>위탁 부모에게 법적 권한을 주는 제도가 신설됐지만, 절차가 복잡합니다. <br> <br>[정필현 / 세이브더칠드런 충북가정위탁지원센터장] <br>"(후견인 선임까지) 보통 짧게는 6개월, 길게는 1년 넘게 또 기간이 걸립니다." <br> <br>가정위탁이 아이들의 울타리가 되어줄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기상 김명철 <br>영상편집 : 변은민 <br>그래픽 : 장태민 장세영 유건수 이수연 이채민 이연제<br /><br /><br />서상희 기자 with@ichannela.com
